반응형
크리에이티브 룩이란
이미지의 "룩"은 이미지의 외관이나 인상을 뜻하며, 색조, 선명도, 밝기와 같은 다양한 디테일로 전달됩니다.
색조, 채도, 콘트라스트, 선명도, 밝기, 그 밖의 다른 이미지 요소의 조합을 변경하면 동일한 피사체를 다른 느낌으로 연출할 수 있습니다. 구상했던 룩을 연출하려면 이미지 처리에서 이러한 요소가 이상적인 균형을 이루도록 설명하면 됩니다.
크리에이티브 룩 스타일
FL
색상을 톤다운하고 하늘, 녹색, 콘트라스트를 강화하는 룩입니다. 바다, 하늘, 산이 있는 자연경관이나 푸른 하늘을 배경으로 한 다른 피사체에 적합합니다.
IN
콘트라스트와 채도를 줄여 매트한 룩을 연출합니다. 우아한 분위기나 장엄한 이미지를 연출하고 싶을 때 추천합니다.
SH
투명함, 부드러움, 생동감을 통해 밝은 분위기를 연출합니다. 부드럽고 차분한 느낌을 구현하고 싶을 때 추천합니다.
VV2
밝고 생생한 색상으로 매우 선명한 이미지를 만듭니다. 화려한 피사체와 장면을 더욱 인상 깊게 만들어 줍니다. 하이키 사진을 촬영했거나 흐린 날씨에서 촬영한 경우 옅거나 칙칙한 색상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모노톤 사진 촬영을 즐기려면 SE 모드를 선택해 세피아 톤을 연출하거나 BW모드를 선택해 흑백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.
크리에이티브 룩 종류와 설명
이름 | 설명 | 특징 및 추천용도 |
ST (Standard) | 표준 색감과 톤 | 자연스럽고 무난한 스타일. 일상, 다큐멘터리, 전천후 사용. |
PT (Portrait) | 피부 톤 강조, 부드러운 톤 | 인물 촬영에 적합. 피부가 매끈하게 표현됨. |
NT (Neutral) | 저채도, 저대비 | 후보정 용이. 영상/사진 모두 편안한 색감 표현 가능. |
VV (Vivid) | 선명한 색감, 고채도 | 풍경이나 강렬한 색감이 필요한 장면에 적합. |
FL (Flat) | 평탄한 대비, 낮은 채도 | 후반 작업을 위한 베이스. 후보정에 적합. |
IN (Intense) | 높은 대비와 채도 | 드라마틱하고 강렬한 느낌. 광고나 강조된 장면에 적합. |
SH (Soft Highkey) | 밝고 부드러운 톤 | 밝은 하이라이트, 가벼운 느낌. 여성 인물, 감성 사진 등에 좋음. |
BW (Black & White) | 흑백 스타일 | 흑백 촬영에 적합. 클래식한 분위기. |
SE (Sepia) | 세피아톤 | 빈티지한 느낌의 연출용. 감성 컷 등에 적합. |
DE (Deep) | 깊고 진한 색감 | 어두운 분위기의 사진, 무게감 있는 장면에 적합. |
CL (Clear) | 맑고 깨끗한 느낌 | 하늘, 풍경 촬영 등에 잘 어울림. |
FA (Fade) | 색이 바랜 듯한 톤 | 감성적인 느낌, 필름 느낌 연출. |
AP (Autumn Leaves) | 따뜻하고 붉은 계열 강조 | 가을 풍경이나 따뜻한 분위기의 장면에 적합. |
SP (Spring) | 부드러운 초록, 핑크 계열 강조 | 꽃, 봄 풍경 촬영에 좋음. |
사용자 조정 가능 항목 (각 룩에서 조절 가능)
각 룩은 아래 요소들을 직접 조정할 수 있어요:
- 콘트라스트 (Contrast)
- 하이라이트/섀도우 톤 (Highlight / Shadow)
- 채도 (Saturation)
- 선명도 (Sharpness)
- 클리어니스 (Clarity)
이걸 미세 조정하면 본인 스타일의 색감을 만들 수 있어요.
추천 조합 예시
- 감성 브이로그: FL(Flat) + 대비 낮춤 + 선명도 낮춤 → 부드럽고 영화 같은 톤
- 선명한 풍경: VV(Vivid) + 채도 살짝 높임 → 시원하고 컬러풀
- 인물사진: PT(Portrait) + 섀도 약간 올림 → 부드러운 피부 표현
- 빈티지 무드: FA(Fade) or SE(Sepia) + 채도 낮춤 → 필름 느낌 연출
반응형
'카메라' 카테고리의 다른 글
RAW파일과 JPEG파일 (4) | 2025.04.06 |
---|---|
카메라 촬영모드 P,A,S,M 이해하기 (6) | 2025.04.05 |
캐논 EOS R50 V 가격과 스펙 (2) | 2025.03.31 |
카메라 파일 형식 설정과 렌즈 AF/MF (0) | 2025.03.31 |
별사진 찍는 법 (3) | 2025.03.29 |